콘텐츠

댕냥 상담소

똥을 먹는 강아지, 식분증 대처 방법!

2023.02.16

"배고파서 배변을 먹는걸까요?"
"식분증 훈련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없던 식분증이 갑자기 생겼어요"

식분증의 원인은?


식분증이란 말 그대로 배변을 먹는 행동을 말합니다. 주로 생후 1 -3개월령의 아기 강아지들에게서 빈번히 나타나는 행동인데요. 습관화되지 않도록 빠르게 해당 행동을 하는 원인을 찾아, 훈련시켜 해결해주어야합니다.

✅ 어미개의 행동 모방
어미개는 주변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 배변을 가리지 못하는 새끼강아지의 대소변을 먹어치워버립니다. 어미개의 행동을 따라하려는 습성이 있어, 대소변을 먹어도 되는 것이라고 인지하고 먹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라면 대부분 생후 2달이 지날 때 쯤 자연적으로 개선됩니다.

✅ 배가 고파서
급여하는 사료의 양이 적거나 활동량이 많은 경우, 배고픔을 이기지 못하고 식분증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허기를 느끼지 않도록 적정량의 사료를 급여하면 자연스럽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 맛있는 냄새가 나서
간혹, 소화가 잘 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가 대변과 함께 배설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변을 파헤쳐 먹으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이 배설한 것이 아닌 고양이의 배변을 먹기도 하는데요! 고양이는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여 배변에서 맛있는 냄새가 나 먹어도 되는 것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 잘못된 훈련 혹은 관심을 얻기 위해
배변훈련을 할 때, 큰 소리로 혼을 내거나 강압적인 방식으로 훈련을 하였다면, 배변을 하는 것 자체를 잘못된 행동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숨기기 위해 먹어치워버리려고 합니다. 또한 배변 후 식분증을 막기 위해 소리치거나 제지하는 등 큰 제스쳐를 취했다면 대변을 먹으면 관심을 받을 수 있다고 잘못 인식하게 됩니다.

✅ 노화, 특정 질환의 증상
간혹 새끼 강아지가 아닌 성견에게 식분증이 나타나기도 하는데요. 평소에 하지 않는 행동을 갑자기 하게 된다면 쿠싱증후군, 치매 등의 질환에 의해 나타나는 행동일 수 있습니다.

✅ 과도한 스트레스, 활동량 부족
좁은 공간에 갇혀있는 경우, 제대로 활동할 수 없어 스트레스가 쌓이고 대변에 호기심을 느끼고 먹어보려고 할 수 있습니다.


식분증은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변을 바로바로 치워주기
✅ 굶주리지 않도록 자주, 적정량의 사료 급여하기
✅ 잦은 산책과 놀이로 스트레스 해소시키기
✅ 강압적인 훈련하지 않기

공복시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식사 시간을 4-6번 나누어서 급여해보세요. 또한 평상시 먹이는 사료의 양보다 10 -10%정도 더 급여하는 것도 굶주림으로 인한 식분증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잦은 산책으로 실외배변을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세요. 20분 이상의 산책은 소화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또한 강압적인 방식의 훈련은 오히려 문제상황을 잘못 인지하고 또 다른 문제 행동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서 훈련시켜주세요!


행동문제는 조기에 바로잡아야해요!


식분증을 어렸을 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라고 가볍게 생각하고 방치하면, 습관화되어 더욱 고치기 어려워집니다. 행동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조기에 올바른 훈련과 생활습관 개선으로 바로잡아주세요! 빠른 시일 내에 행동이 고쳐지지 않더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천천히 기다려주세요. 조급한 훈육은 독이 될 수 있습니다.
#강아지 #위/장 #일상생활 #행동문제

우리 아이도 고민이있다면
지금 바로 라이펫 상담!

상담하러 가기
추천 콘텐츠